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
구글 태그매니저를 통한 구글 애널리틱스 실행 속도 비교 구글 태그매니저는 굉장히 편리한 도구 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페이지의 소스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실 개발자가 아닌 사람에게는 이는 어려운 일 일 수 있습니다. 태그매니저의 스크립트를 페이지에 심으면 이후의 스크립트 추가는 태그매니저 안에서 할 수 있게 되고 비개발자들도 쉽게 마케팅 추적 태그들을 심을 수 있는 템플릿들을 지원하고 있어 태그매니저를 사용하면 보다 쉽게 구글 애널리틱스 태그나 페이스북 픽셀 태그 등의 마케팅 추적 태그들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리함이 있지만 구글 태그매니저를 씀으로서의 발생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태그매니저를 사용하게 되면 태그매니저가 실행한 뒤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실행하게 되기 때문에 소스 코드..
Google Analytics 코드 삽입 위치에 따른 차이점 Google Analytics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 할 때 종종 듣는 질문이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를 어디에 심느냐에 따라서 차이점이 있나요? 공식적으로는 태그 안에 심으로 하는데 태그에 심어도 문제가 없을까요? ' 보통 프로젝트 마다 다르지만 애널리틱스 코드를 모든 페이지 에 심기가 어려운 상황이 있을 때도 있는데 이럴 때 GA 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지 걱정하시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사실 태그에 심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안에 심는 것보다 조금 더 늦게 로딩 될 수 있다는 이슈가 있습니다. 브라우져는 서버에서 위 같은 html 텍스트를 다운로드 받고 해당 텍스트를 저희가 보는 인터넷 화면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면을 만드는 과정에서 브..
GA 트래킹 브라우져 개발자 도구로 확인하기 Google Analytics 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아무래도 우리가 심은 GA 가 우리의 의도대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지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처음 GA 를 시작했을 때 제가 심은 스크립트들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방법을 몰라 데이터가 들어올 때 까지 계속 기다리고 다음날 제대로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는 것들을 확인 하며 많은 인내의 시간을 보냈었습니다. 사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브라우져에서 이벤트 ( 페이지뷰 , 이벤트 등) 가 일어나면 구글 서버에 해당 내용들을 전송해주기 때문에 브라우져 개발자 도구나 크롬 웹앱을 이용하면 트래킹 여부와 어떤 값들을 수집하고 있는 지 체크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