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alytics (8)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 애널리틱스 내부링크/외부링크 클릭 이벤트 일으키기 페이지에는 매우 다양한 링크들이 포함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링크에 하나하나 클릭에 대한 이벤트를 만들기에는 엄청난 노가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javaScript 를 통해 페이지 안에 있는 모든 링크 클릭 시에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설정 해보겠습니다. 먼저 개발자 도구에서 콘솔창을 열고 아래의 코드를 붙여넣기 하고 실행 시켜보겠습니다. (function(){ // a 태그 모두 선택 var link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a'); // a 태그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조회 for ( var i = 0; i < links.length; i ++ ) { // 만약 a 태그 요소 중에 링크로 이동되는 href 태그를 가지고 있는 요소가 있다면 if(.. 구글 애널리틱스 티스토리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된 내부 사용자 분류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지 시간이 흘렀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저의 블로그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는 저입니다. 개인 맥북으로도 회사 컴퓨터로도 핸드폰으로도 들어가고 쿠키도 지우고 하다보니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인식하는 사용자가는 많아졌는데 사실 전부 저입니다. 슬프지만 저 자신을 속일 수는 없기에 제 티스토리 계정으로 로그인 된 경우 커스텀 디멘션 상에서 내부 사용자로 필터링 하도록 설정 해보겠습니다. 자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에 들어왔을 때 로그인이 되어 있는 지 안되어있는 지 , 되어있다면 누구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저는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개발자 도구를 열어 tiara 라고 타이핑 한 뒤 실행 시켜 보았습니다. 자 놀랍게도 많은 정보들이 나옵니다. 이 tiara 라는 변수에는 티스토리에서 사..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일으키기 구글 애널리틱스 gtag.js 로 이벤트를 일으켜보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보통 이벤트를 버튼이나 링크를 클릭했을 때 해당 값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 합니다. 예를 들면 버튼 위에 있는 버튼을 클릭했을 때의 수치를 트래킹 하고 싶다 라고 하면 해당 버튼을 클릭했을 때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가 실행 되게 코드를 작성해주면 됩니다. 이야기 나온 김에 버튼에 이벤트를 심어 보았고 클릭했을 때 개발자 도구 네트워크 탭이나 구글 태그 어시스턴트를 통해 확인이 가능 하실 겁니다. 저는 버튼을 클릭했을 때 다음과 같은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코드가 발생하도록 설정 하였습니다. gtag('event','버튼클릭',{ 'event_category' : '테스트' , 'event_label' : '테스트', 'val.. 구글 애널리틱스 커스텀 디멘션 만들기 안녕하세요 구글 애널리틱스 커스텀 디멘션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커스텀 디멘션/메트릭은 왜 세팅하는가? 기본적으로는 GA 에서 추적하지 않으나 추가적으로 추적하고 싶은 측정기준이나 수치가 있을 때 GA 에서 수집은 하고 있으나 리포트에서 조회가 불가능한 측정기준을 세팅 하기 위해 ( ex : timestamp , clientId , userId) 오늘은 타임스탬프와 클라이언트 ID 를 커스텀 디멘션으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타임스탬프와 클라이언트 ID 는 사실 GA 에서 수집하고 있는 기준들이나 리포트나 API 에서는 조회가 불가능한 지표들 입니다. 아마 추측 하건데 이 두 개의 디멘션을 조회하게 되면 raw 한 단위의 데이터 추출이 가능해지고 데이터 요청량이 늘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 디.. 구글 애널리틱스 테스트 하기 1. gtag.js 페이지뷰 일으키기 구글 애널리틱스 초보 시절 가장 많이 했던 고민은 제가 심은 추적 스크립트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 이러한 스크립트를 심더라도 문제가 없을 지에 대한 두려움 이었습니다. 실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에 잘 이해하지 못하는 스크립트를 심는 것은 누구에게나 매우 두려운 일 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운영사이트가 아닌 테스트 환경에서 구글 애널리틱스를 심어보고 잘 작동하는 지 확인 함으로써 실제 운영하는 사이트에 심기 전에 해당 코드가 잘 작동하는 코드 인지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테스트를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만들겠습니다. 이 계정은 실제 운영용이 아니며 데이터를 쌓고 분석하는 용도가 아닌 데이터가 저희의 의도 대로 잘 들어오는 지 확인하고 테스트 하는 용도로 사용.. 구글 태그매니저를 통한 구글 애널리틱스 실행 속도 비교 구글 태그매니저는 굉장히 편리한 도구 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페이지의 소스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실 개발자가 아닌 사람에게는 이는 어려운 일 일 수 있습니다. 태그매니저의 스크립트를 페이지에 심으면 이후의 스크립트 추가는 태그매니저 안에서 할 수 있게 되고 비개발자들도 쉽게 마케팅 추적 태그들을 심을 수 있는 템플릿들을 지원하고 있어 태그매니저를 사용하면 보다 쉽게 구글 애널리틱스 태그나 페이스북 픽셀 태그 등의 마케팅 추적 태그들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리함이 있지만 구글 태그매니저를 씀으로서의 발생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태그매니저를 사용하게 되면 태그매니저가 실행한 뒤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실행하게 되기 때문에 소스 코드.. Google Analytics 코드 삽입 위치에 따른 차이점 Google Analytics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 할 때 종종 듣는 질문이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를 어디에 심느냐에 따라서 차이점이 있나요? 공식적으로는 태그 안에 심으로 하는데 태그에 심어도 문제가 없을까요? ' 보통 프로젝트 마다 다르지만 애널리틱스 코드를 모든 페이지 에 심기가 어려운 상황이 있을 때도 있는데 이럴 때 GA 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지 걱정하시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사실 태그에 심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안에 심는 것보다 조금 더 늦게 로딩 될 수 있다는 이슈가 있습니다. 브라우져는 서버에서 위 같은 html 텍스트를 다운로드 받고 해당 텍스트를 저희가 보는 인터넷 화면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면을 만드는 과정에서 브.. GA 트래킹 브라우져 개발자 도구로 확인하기 Google Analytics 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아무래도 우리가 심은 GA 가 우리의 의도대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지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처음 GA 를 시작했을 때 제가 심은 스크립트들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하는 방법을 몰라 데이터가 들어올 때 까지 계속 기다리고 다음날 제대로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는 것들을 확인 하며 많은 인내의 시간을 보냈었습니다. 사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브라우져에서 이벤트 ( 페이지뷰 , 이벤트 등) 가 일어나면 구글 서버에 해당 내용들을 전송해주기 때문에 브라우져 개발자 도구나 크롬 웹앱을 이용하면 트래킹 여부와 어떤 값들을 수집하고 있는 지 체크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방.. 이전 1 다음